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 입춘(入春)
오늘이 벌써 24절기중 첫 절기인 입춘입니다. 해가 바뀌고 설을 보내고 나니 어김없이 봄이 오는 걸 알려주는 입춘이 찾아왔습니다. 그런데 아직 날이 많이 쌀쌀합니다. 영하의 추위가 주말까지 계속된다고 봄의 기운을 맞는 건 잠시 미뤄둬야 할거 같네요.
입춘은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 경이 이에 해당합니다. 새해의 첫 번째 절기이다 보니 농경과 관련된 행사도 이때 시작이 됩니다. 입춘은 음력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습니대 이럴 때를 재봉춘이라고 한다네요.
농사를 짓지 않는 일반인들에게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알 수 있는 정도일뿐이지만 예로부터 농사를 짓는 분들에겐 절기는 매우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런 절기의 첫 번째 입춘의 의미는 그만큼 그다고 할 수 있겠죠.
입춘,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되기에 이날을 기리고 일년 동안 대길(大吉), 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여러 의례와 풍속들이 많이 있었지만 지금에는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죠. 그만큼 우리가 사는 이 시대가 양력에 맞춰진 삶을 살아가고 있기때문이겠지요.
입춘과 관련된 속담
입춘과 관련된 속담들도 많이 있습니다. 몇 가지를 알아보면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에 장독 오줌독 깨진다 등이 있습니다. 요즘은 그리 잘 듣기 힘든 속담들이네요. 시험문제나 우리말 대결에서 볼 법 듯한 속담들입니다. 그럼 이 속담들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알아보고 가볼게요!
1.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이 속담의 뜻은 '입춘이지만 날씨가 춥다는 의미로 반드시 입춘 무렵에는 추위가 찾아온다는 뜻입니다. 앞서 위에서 언급했던 대로 이번 주에는 영하권의 날씨가 계속되어 춥다고 하더니 옛말에 틀린 말이 없다는 말이 이런 건가 봅니다.
2.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추하고 보잘것없는 가게 집 기둥에 입춘대길을 써붙인다는 뜻으로 제 격에 맞지 아니하고 지나치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비슷한 속담으로는 개 발에 놋 대갈, 거적문에 돌쩌귀가 있습니다.
3.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이 지났는데도 날씨가 몹시 추워진다는 뜻입니다.
4. <입춘에 장독 오줌독 깨진다> 입춘 무렵의 추위가 매서워 장독(오줌독)이 얼어서 깨진다는 의미를 가졌습니다. 비슷한 속담으로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터진다>와 <봄취위가 장독 깬다>가 있습니다.
입춘 관련 음식과 풍속
입춘 관련 음식으로는 명태순대와 오신채 그리고 세생채가 있습니다.
명태순대는 내장을 빼낸 명태 뱃속에 소를 가득 채워 넣어 만든 순대로 동태순대라고도 하는군요.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맛이 나는 채소로 만든 봄 생채요리입니다.
입춘 관련 풍속으로는 입춘축, 입춘 하례, 입춘굿, 목우희, 보리뿌리점 등이 있습니다.
목우회는 나무로 소 모양을 만들어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행한 풍속입니다. 보리뿌리점은 입춘에 보리 뿌리의 성장 상황을 파악해 보리 수확을 미리 예측해보는 농사점을 말합니다.
입춘축은 봄이 온 것을 축하하고 기원하는 글귀를 적어 각 집마다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이는 행사로 입춘첩, 문대, 춘방이라고도 불립니다. 대표적으로 입춘대길(入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을 종이에 써 붙입니다.
댓글